Spring9 [Spring] 게시판 파일 기능 설정 File 업로드, 다운로드 기능 등을 수행할 시 주의해야 할 HTML, 파라미터 등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input 타입을 file로 설정 2. form 태그에서 enctype="multipart/form-data" 설정 - 단순히 post만 하게 되면 파일 이름(문자열)으로만 넘어갑니다. 3. Spring parameter 설정 file은 MultipartFile[] files 또는 MultipartFile file로 설정합니다. MultipartFile[] files은 여러 개 파일들을 받는 배열이며, MultipartFile files은 하나의 파일을 받는 파라미터입니다. @PostMapping("/write") public String write(BoardDto boardDto, @Re.. 2022. 10. 24. [Spring] Filter, Interceptor Filter 1. 자바 서블릿에서 제공하는 기능 2. 톰캣(웹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가 된다. 3. request를 받으면 DispatcherServlet으로 가기 전에 Filter가 수행되며, response를 보낼 때는 DispatcherServlet에서 Filter를 걸쳐 Client에게 가게 됩니다. 4. request, response 객체에 대한 조작이 가능합니다. 5. Client Filter DispatcherServlet 의 구조 Filter 구현 public class MainFilter implements Filter @Override public void init(FilterConfig filter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필터를 생성할 때 실행.. 2022. 10. 21. [Spring] Model 객체 model 객체 1. controller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담아서 view로 전달할때 사용하는 객체입니다. 예를 들어 게시판의 목록을 구현할때 리스트를 model에 담아 view에서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2. model은 key와 value 값을 가진 HashMap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model.addAttribute("key", "value") 메서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됩니다. model 객체 사용법 model.addAttribute("키", "값"); 아래는 controller에서 게시글 목록 페이지를 구현하는 메서드입니다. 특히 예시로 가져온 게시글 목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List형태로 보내주어야 합니다. @RequestMapping(value= ".. 2022. 9. 17. [Spring] DB 정보 properties파일을 통해 분리하기 기존 root-context.xml에서 db정보를 분리해서 properties파일에 따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properties 파일을 생성합니다. 경로는 src/main/resources에 저장하였습니다. 2. root-context.xml에서 properties 파일의 경로를 설정해주어야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퍼티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3. 스프링 표현언어(SpEL)을 통해 db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번에서 설정한 id 이름을 통해 접근합니다. #{id 이름['접근할 요소 이름']} 4. 접속 테스트 위의 과정을 통해 DB 정보 파일을 분리하여, 접속할 수 있게 됩니다. 2022. 8. 1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