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2 [JPA] Entity 개발 시 참고 사항 @Builder @Builder를 쓰며 느꼈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명시적 선언으로 각 파라미터가 어떤 의미인지 알기 쉬워 가독성 측면에서 훨씬 편했다. 2. 필요한 데이터만 설정할 수 있었다. 기존에는 해당 상황에 맞는 파라미터를 갖는 생성자들을 여러 개 생성했었는데, @Builder를 통해 필요한 파라미터 데이터만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Builder 어노테이션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하고, 이중에 2번인 생성자에 @Builder 어노테이션 붙이는 방법을 사용하자! => 필요한 파라미터만 포함된 생성자에 @Builder 어노테이션을 붙이자! 1. 클래스에 @Builder 어노테이션 붙이기(X) @Builder public class User{ ... } 2. 생성자에 @B.. 2023. 2. 27. [JPA] JPA 개념 정리 JPA란? JPA는 개발자 대신 적절한 SQL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해서 객체를 자동 매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JPA는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 구현체 중에는 Hibernate, EclipseLink, DataNucelus가 있습니다. 그중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게 Hibernate입니다. JPA를 왜 사용할까?? 1. 유지보수 향상 기존에는 컬럼을 추가해야 하는 경우 쿼리도 수정하고, 자바 클래스도 이에 맞게 필드를 추가했습니다. JPA를 사용하면 필드만 추가하면 SQL은 JPA가 처리해 주기 때문에 유지보수 측면에서 좋습니다. => 그렇다면 JPA는 어떻게 값이 변경된 것을 알 수 있을까?? 1차 캐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2. 패러다임의 불일치 해결 객체는 상속, 추상화, 다형성의 특징.. 2023. 1. 15. 이전 1 다음